C C++166 C언어 백준 9498번 시험 성적 문제풀이 #include #pragma warning(disable:4996) int main(void) { int num; scanf("%d", &num); if (num >= 90) printf("A"); else if (num >= 80) printf("B"); else if (num >= 70) printf("C"); else if (num >= 60) printf("D"); else printf("F"); } if, else if, else를 사용하여 쉽게 풀 수 있는 문제였다. else if를 사용할 때 90>num>=80 등으로 범위를 구체적으로 특정할 필요는 없다. 이는 if에서 이미 num>=90으로 90 이상의 범위는 걸렀기 때문이다. 남은 마지막 조건은 else 처리하였다. 참고) 현.. 2022. 1. 10. C언어 백준 1330번 두 수 비교하기 문제풀이 #include int main(void) { int A, B; scanf_s("%d%d",&A,&B); if (A > B) { printf(">"); } else if (A == B) { printf("="); } else { printf(" 2022. 1. 3. C언어 #8 - 상수 (int, double, 접미사, const) C언어 상수 상수는 이름이 있는 상수와 없는 상수가 있다. 상수는 int, double과 같은 자료형을 근거로 표현된다. int main(void) { int num = 30 + 40; return 0; } 위 연산에서 30과 40은 상수이다. 또한 메모리에 존재한다. 메모리에 존재하기 때문에 연산이 가능한 것. - 정수 30과 40은 메모리 공간에 상수의 형태로 저장 - 두 상수를기반으로 덧셈 - 덧셈의 결과로 얻어진 정수70이 변수 num에 저장 num은 할당된 메모리 공간에 이름을 붙인 것인데, 30과 40 등은 메모리 공간에 이름이 없다. 이를 리터럴 상수 또는 리터럴이라고 한다. 메모리 상의 모든 데이터는 자료형이 정해져야 한다. int main(void) { int inum = 5; doubl.. 2022. 1. 1. C언어 #7 - 자료형의 이해 (int, long, float, double, char, short, long long) C언어 기본 자료형 변수는 데이터 저장을 위해 할당된 메모리 공간에 붙인 이름이라고 한다. 이 때 메모리 공간을 할당할 때 그 용도가 결정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4 byte 정수를 저장할 때는 int로 표현하면 충분하다. 그렇다면 다른 자료형은 어떨까? 자료형 크기 값의 표현범위 정수형 char 1바이트 -128이상 +127이하 short 2바이트 -32768이상 +32767이하 int 4바이트 -2147483648이상 +2147483647이하 long 4바이트 -2147483648이상 +2147483647이하 long long 8바이트 -9223372036854775808이상 +9223372036854775807이하 실수형 float 4바이트 ±1.7×10^-37이상 ±3.4×10^+38 doubl.. 2022. 1. 1. 이전 1 ··· 37 38 39 40 41 4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