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364 부채한도협상이란? - 연방정부 부채한도협상 타결 여부, 2011년 부채한도협상 사례 연방정부 부채한도협상이란? 과거 부채한도 협상과 협상 영향 2021년 부채한도 협상 현황 및 과거의 부채한도 협상 연방정부 부채한도협상이란? 부채 한도는 미국 재무부(연방 정부)가 합법적으로, 기타 정부 기관과 민간에서 최대로 빌릴 수 있는 금액으로 상한을 법률로 정합니다. 미국은 자국 화폐인 달러 발행권을 연방정부가 아닌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가 가지고 있습니다. 이 때 미국 정부는 예산이 부족하면 채권을 발행해 차입합니다. 따라서 정부 재정의 건전성과 달러 가치 안정을 위해 상한선을 두고 있습니다. 과거 부채한도 협상과 협상 영향 주요 내용 (2011년) 부채한도 협상 실패 시 미 연방정부에 현금이 모자라 업무 일부가 마비되는 셧다운 사태와 사상 초유의 디폴트 (채무불이행) 우려가 있습니다. - .. 2021. 9. 25. 반도체 8대 공정이란? 1. 웨이퍼 제조 공정 제대로 알기 1. 웨이퍼 제조 Overview: 잉곳 만들기 - 잉곳 절단 - 웨이퍼 표면 연마 우선 , 웨이퍼란? 웨이퍼는 반도체 집적회로를 만드는 주요 부품으로, 웨이퍼 위에 다수의 동일 회로를 만들어 반도체 집적회로를 만듭니다. 실리콘(Si), 갈륨 아세나이드(GaAs) 등을 성장시켜 만든 단결정 기둥을 얇게 썬 원판을 의미합니다. 여기서 '성장'이라는 표현이 있는 데, 영어로는 crystal growth이며 결정화(crystallization) 과정의 주요 단계입니다. 결정화 단계는 크게 핵화(nuclearization)와 성장(growth)이 있으며 성장 단계는 핵 또는 분자가 핵에 흡착되어 핵 형성 부위로부터 결정 구조를 바깥으로 전파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Step 1: 잉곳 만들기 실리콘을 모래에서 추출.. 2021. 9. 16. 테이퍼링이란? 테이퍼링 제대로 알기 - 테이퍼링의 정의, 2013년 테이퍼링 사례, 잭슨홀 미팅, 9월 FOMC회의 (계속 업데이트 예정) 테이퍼링이란? 2013년 테이퍼링 과거 사례 2021년 테이퍼링 진행 상황 테이퍼링이란? 테이퍼링은 '점점 가늘어지다.', '끝이 뾰족해지다.'라는 의미로, 미국 연방준비제도(FED)가 양적완화 정책의 규모를 점진적으로 축소해 나가는 것을 의미합니다. 일종의 출구전략입니다. 2013년 벤 버냉키 전 연준 의장의 연방준비제도(Fed) 양적 완화 관련 정책 발표로 처음 언급되었습니다. 당시 연방준비제도는 채권 매입을 줄이고 시장에 유입되는 달러를 줄일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당시에는 이 발표에 대한 여파가 워낙 커서, 예고만으로도 달러화와 국채 금리가 크게 올라 테이퍼 텐트럼(긴축 발작)이라는 용어도 생겼습니다. 경제 위기가 찾아올 때 연방준비제도는 자산 매입(국채와 주택저당증권 매입)을 하면서 시장에 달러를.. 2021. 9. 4. 주식 레버리지란? - 레버리지 원리, QQQ vs. QLD vs. TQQQ 레버리지란? - N배로 따라가는 레버리지 레버리지는, 지렛대를 이용하면 작은 힘으로 큰 물체를 들어올릴 수 있듯이 부채를 이용해서 투자 규모를 키우는 것을 의미합니다. 투자에서 레버리지는 부동산에서도 쓰입니다. 예를 들어 '갭 투자'는 임차인의 전세금을 무이자부부채로 레버리지 투자를 하는 것입니다. 주식을 시작하고 얼마 지나지 않아 레버리지라는 개념을 알게 되었습니다. 제 주력은 나스닥 상위 100개의 항목을 추종하는 QQQ라는 해외 ETF입니다. 여기서 레버리지 상품인 QLD, TQQQ 등이 있습니다. 각각 QQQ 2배 레버리지, 3배 레버리지 종목입니다. 주식 레버리지 운용 원리 주식 레버리지의 운용 원리는 아래와 같습니다. 1. ETF 투자금으로 현물 매수 2. 매수된 현물을 담보로 현금 확보 3... 2021. 8. 29. 이전 1 ··· 56 57 58 59 60 61 62 ··· 91 다음